류사오보(劉曉波)와 중국의 인권
류사오보(劉曉波)와 중국의 인권
  • 승인 2017.08.20 09: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대열
전북대 초빙교수
옛날 왕조시대에는 인권이라는 개념이 아주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역사의 흐름을 살피고 당시의 기록물들을 보면 임금의 독단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가차 없는 신하들의 항변과 충언이 잇따랐다. 사리에 어긋나는 결정은 조정회의를 통하여 반드시 걸러졌다.

조선왕조를 끝맺음한 고종과 순종 역시 겉으로는 용열했다는 평을 듣고 있지만 애국소신은 분명했던 사람이다. 고종은 일본의 간섭에 맞서 아관파천을 단행하는 경천동지의 결정을 실행에 옮겼고, 단발령으로 구시대를 상징하는 상투를 잘라버렸다.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평화회의에 일본 몰래 이준 등 밀사를 파견한 것도 탁월한 외교적 결단이었다. 그러나 이미 기울어진 국력으로는 서세동점(西勢東漸)의 큰 물결을 막아낼 수 없었고, 게다가 일찍이 서양문명을 받아드린 일본의 정한론(征韓論) 앞에 속수무책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더구나 매국역적 간신들이 일본에 붙어 나라를 팔아먹는 치욕을 면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곤궁한 역사의 흐름 앞에 36년 동안 일제의 강압통치를 받았으면서도 정신을 차리지 못한 한민족은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이념의 노예가 되어 좌우로 갈라서며 남북분단의 비극을 맛보게 된다. 소련과 중국의 앞잡이로 전락한 북한 김일성집단은 김정일 김정은으로 3대 세습까지 감행하면서 옛 왕조는 옆자리에 끼어 앉지도 못할 만큼 역사상 최고 최악의 독재자가 되었다.

그들에게는 박수만 건성으로 처도 죽임을 당하고, 말씀 중 졸기만 해도 숙청되었으며 북한인민을 굶주림에 몰아넣으면서도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여 세계평화를 위협하고 있다. 북한에서 인권을 얘기하는 것은 사치다. 이와 똑같은 현상이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다. 모택동시대의 문화대혁명 운동으로 피폐해진 중국을 살려낸 것은 등소평이다. 그는 혹독한 시련을 겪은 피해자이면서도 모택동 격하운동을 벌이지 않고 오히려 그를 높이 평가하는 한편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버리고 과감하게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도입한다. 한국도 똑같은 처지를 겪었지만 30년 전만해도 거지신세를 면하지 못했던 중국인들이 이제는 세계를 누비며 쇼핑에만 열중하는 요커가 되었고 중국은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G2로 훌쩍 커버렸다. 경제는 시장경제를 구가하면서 정치는 가장 가혹한 공산독재를 시행한다. 사회는 공안(경찰)들의 세상이다. 중국의 공권력은 공포의 대상이다. 공안에 의해서 체포되었던 인권·반체제인사 류사오보가 며칠 전 감옥에서 나와 간암치료를 받다가 숨을 거뒀다. 미국의 대학생 웜비어가 북한관광 중 체포돼 인사불성이 된 다음에야 미국으로 이송되었으나 끝내 회생하지 못한 게 엊그젠데 중국에서도 비슷한 일이 생겼다. 류사오보는 작가이면서 변호사로서 인권운동을 하다가 여러 차례 투옥되는 고통을 겪었다. 그의 강인한 인권운동을 높이 평가한 노벨평화상위원회는 지난 201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결정했다. 물론 중국은 출국을 금했다. 그의 첫 번째 아내는 천안문 사건으로 남편이 구속되자 어린 아들을 데리고 미국으로 떠나버렸으며 자금의 아내와는 수용소 구내식당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류사(劉霞)다. 류사는 시인이며 화가로 류사오보의 대변인 역할을 한다. 류사의 활동을 저지시키기 위해서 공안은 가택 연금했다. 세계 각국에서 연금해제, 출국운동을 하지만 끄떡도 하지 않는다. 펜 하나로 비폭력 민주화를 외치던 류사오보는 죽은 다음날 화장하고 가루는 바다에 뿌려졌다. 중국인들의 조직적인 추모행사는 못하게 됐지만 그가 뿌린 인권의 불꽃은 찬란하다. 세계가 그를 기리며 중국이 인권과 자유를 보장하는 민주국가가 되어야 한다고 소리 높여 외친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