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숲, 그 사랑의 시작은 ‘산불예방’입니다
푸른숲, 그 사랑의 시작은 ‘산불예방’입니다
  • 최연청
  • 승인 2016.04.13 19:0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시, 봄마다 되풀이 되는 대형 산불 예방 ‘안간힘’

산불 3~4월에 집중 발생

장기간 맑고 건조한 기후 탓

대구, 10년간 26.64㏊ ‘잿더미’

입산자 실화, 전체의 55% 차지

대구시, 특별대책기간 운영
/news/photo/first/201604/img_194696_1.jpg"메인
“방심 금물, 산불예방 동참하세요” 봄철 산불은 입산자 실화나 소각 행위 등 사람들의 실수가 가장 많은 발생 원인을 차지한다. 이때문에 시민들이 경각심을 갖고 산불방지에 협조하는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이달초 권영진 대구시장과 대구시 공무원, 관계기관 구성원 등이 등산로에서 등산객들을 상대로 산불방지 캠페인을 벌였다. 대구시 제공

봄철 산불은 한번 발생하게 되면 다수의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고 그 피해 또한 대규모로 번져 걷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산림과 인접한 인근주택과 국가 중요시설, 문화재 등이 소실되는가 하면 산불발생 지역에서는 토양유실과 산사태 등 2차적 피해로 이어져 많은 피해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애써 가꾼 삼림이 한순간에 잿더미로 변하는 것도 안타깝지만 더욱 안타까운 건 바로 이같은 산불이 대개 사람들의 부주의로 발생한다는 점이다.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산불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427건이 발생해 466ha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는데 대개 3월부터 5월 사이 봄철에 집중 발생했다. 입산자의 실화가 산불 발생에 가장 많은 원인을 제공했다. 사소한 부주의에서 시작되는 산불. 산불 조심은 내가 할 일이 아니라 소방이나 산림청 등 관계기관이 해야 할 일이라는 안일한 생각은 언제 커질지 모르는 숨은 불씨만 키우고 있는 형국이다.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에 가까운 셈이다. 산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이 함께해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봄철 산불, 얼마나 위험하며 자치단체에서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시민들은 생활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산불발생을 지켜낼 수 있는지 집중적으로 알아본다. <편집자주>



◇봄철 산불, 얼마나 위험한가

우리나라의 봄철은 발달된 양쯔강 기단이 동서방향으로 위치, 이동성 고기압으로 한반도를 통과하면서 장기간 맑고 건조한 날들이 이어지는 기후적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기후적 특징으로 해마다 봄철이 되며 다양한 화재가 발생하고 그 피해는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수십년간 가꿔온 울창한 숲을 한순간에 잿더미로 만들어 버리는 산불은 우리 인간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재해로 여겨진다.

산림청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일어난 우리나라의 산불 가운데 3~4월 사이 봄철에 절반에 가까운 49%의 산불이 집중됐다. 지난 10년 간 이 기간 중 195건의 산불이 발생했으며 총 산불면적의 77%에 해당하는 359ha가 잿더미가 됐다. 겨울철인 1∼2월 사이 발생한 산불이 79건으로 전체의 20%, 면적의 11%를 차지한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최근에는 봄철 때 이른 고온현상과 건조일수 증가로 산불발생이 더 장기화 하고있다. 작년 3월에만 산불은 252건에 달했다. 피해면적은 무려 261ha. 연간 건수의 40%에 이른다. 산불의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156건으로 전체의 40%에 이른다.

대구는 지난 10년 간 총 144건의 산불이 발생해 26.64ha의 면적을 태웠다. 대구시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월별 산불발생 현황을 집계한 결과 3월과 4월에만 55건의 산불이 발생,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1월에 21건, 2월엔 26건으로 상대적으로 봄철이 겨울철보다 산불 발생이 빈도수가 높았다. 여름철인 7~9월은 불과 1건에 그쳤다.

대구지역의 산불 원인은 총 144건 중 입산자 실화 80건, 논밭두렁 소각 7건, 쓰레기 소각 13건, 담뱃불 실화 11건, 성묘객 실화 4건, 어린이 불장난 7건, 기타 원인을 알수 없는 22건이다. 봄철산불의 주요 원인은 소각에 의한 산불과 입산자 실화인 셈이다. 입산자 실화는 건수대비 55.5%, 면적대비 37.3%에 이른다. 지난 2006년 동구 지묘동의 한 식당에서 어린이가 불장난으로 낸 대형산불로 8ha의 면적을 태운 일은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산불방지 대책 추진

대구시는 이달 초부터 오는 20일까지를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해놓고 산불경보를 ‘경계’ 단계로 격상한 상태에서 상황실 근무인원 증원해 운영하는 등 봄철 산불방지를 위해 안간힘을 쏟고있다. 시 산불대책본부장을 공원녹지과장에서 녹색환경국장으로 격상하고 상황실 근무인원은 24시간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휴일 근무조도 2개조 8명으로 유지하고 있다.

시는 소방안전본부, 경찰, 군 등 관련기관과의 협력체계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들과는 산불상황이 접수되는 즉시 전파해 산불진화를 적극 지원받고 있으며 산불 취약지역에 대한 순찰을 지원받고 산불이 발생했을 경우 증거물 확보와 방화자 검거에 협조를 받고있다. 군에서는 산불경보 발령시 사격훈련이 중지되고 진화병력도 지원된다. 지난 청명과 한식 시기, 그리고 국회의원 선거일은 비상체제가 유지됐지만 다행히 적당한 비가 와 다소 쉽게 넘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 어린이날 연휴 등 주요시기가 남아있어 시는 대책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산불 위험·취약지 중심의 예방활동 강화

대구시 산불대책본부는 봄철 산불 감시인력과 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가장 필요한 인력부터 증원했다. 이들을 취약지에 집중 배치해 순찰 위주의 근무를 실시중이다. 이들은 지역·기상상태 등을 고려해 산불감시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받고있다.

산불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장 먼저 총 50대의 산불신고단말기가 가동된다. 57대의 산불감시카메라로 소각행위 등 산불이 일어날 수 있는 각종 행위들에 대한 감시도 강화되고 있다. 심지어 헬기를 이용한 공중계도와 감시까지 입체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 헬기들은 산불발생 시 진화에 즉시 투입된다.

시는 산불 발생이 입산자 실화에 의한 경우가 가장 비중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 입산객에 대한 관리도 강화하고 있다.

먼저 등산로 입구에 화기물 보관함을 설치하고 입산통제구역과 폐쇄 등산로를 차단해놨다. 산불 위험·취약지는 산불감시원을 고정 배치해 순찰을 강화하고 주요 등산단체 등 민간 중심의 자발적 산불예방 캠페인에 대한 협조도 구하고 있다. 문화재 주변 산불소화시설을 활용, 문화재는 주기적으로 물도 뿌려주고 있다.

시는 지난달부터 산불방지를 위해 소각행위는 전면금지했다. 각 권역별로 담당공무원을 두는 등 감시 인력을 지정해 소각행위 방지를 위한 지속적 계도활동을 전개해왔다. 논·밭두렁 소각의 비효율성을 홍보하는 한편 무단소각 행위를 적발할 경우 산림보호법에 의해 철저한 단속을 하고 있다.

100ha 이상의 면적에 대형산불이 일어나 산불이 확산될 경우 대구시가 통합지휘권을 인수하게 된다. 중소형 산불이라도 야간산불 확산, 사회적 이슈,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재난성 산불인 경우도 동일하다.

산불원인을 규명하고 산불을 일으킨 사람을 검거하는데도 보다 철저를 기울이고 있다. 시는 신고 포상금제를 적극 홍보, 산불 취약지와 산불발생지 등에 현수막을 달아두고 있다. 산불이 일어났을 경우 민·관의 전문가로 구성된 산불전문조사반이 즉각 투입된다. 이들은 산불 원인 규명과 가해자 검거 지원을 위해 산불현장에 대한 조사와 감식에 나서며 방화로 추정되는 산불은 경찰과 합동으로 ‘방화범 검거팀’을 운영한다. 이렇게 해 검거된 가해자는 엄정하게 법에 따라 처리하고 손실에 대해 손해배상까지 청구한다는 방침이다.



◇시민들의 협조가 산불 방지의 관건

대구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만 있다면 봄철 산불은 충분히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예전에는 논밭두렁과 농경지의 마른 풀 등을 태우면 각종 해충을 박멸해 농사에 이롭다는 생각으로 영농의 중요 과정으로 여기고 소각을 해왔지만 최근에는 이런 소각이 이로운 곤충까지 함께 죽여 이득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예전의 잘못된 생각을 버리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산불방지대책본부는 지난달부터 소각전면금지기간으로 설정하고 산림 인접지역에서 불을 피우는 행위에 대해 단속을 실시하고 적발시 10~5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건강을 챙기기 위해 산을 찾을 때 정해진 등산로만 이용하고 화기는 절대로 가져가면 안된다고 시는 강조하고 있다.

산불이 발생했을 때 산불발생 신고는 119나 시청 등 산림부서로 전화를 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산불신고 앱을 통해서 하면 된다. 산불발생지역에서 최대한 빨리 벗어나 안전을 확보하고 산불 발생지역과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방송 등을 통해서 산불의 추이를 살펴 상황에 맞게 대처하도록 시는 당부하고 있다.

봄철 중 건조한 날씨에 강한 바람이 부는 4월 한달은 대형산불방지 특별기간으로 설정돼 있다. 산불은 예방이 최선이다. 산림을 지키는 산불예방활동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대구시 산불방지대책본부는 특별히 강조했다. 최연청기자 cyc@idaegu.co.kr


<산불방지 국민행동요령>

△산불예방 참여 요령

-산행전에는 입산통제, 등산로 폐쇄 여부를 확인하고 산불 위험이 높은 통제지역에는 산행을 하지 않는다. -입산시에는 성냥, 담배 등 인화성 물질을 소지하지 않는다. -취사를 하거나 모닥불을 피우는 행위는 허용된 지역에서만 실시한다. -성묘, 무속행위로 불가피하게 불씨를 다루어야 할 경우 반드시 간이 소화장비를 갖추도록 한다. -산림과 연접된 지역에서 소각해야 할 경우 해당관서에 사전 허가를 받고, 불씨가 산림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미리 조치를 하고 소각한다. -산림 또는 산림과 연접된 지역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불씨를 다루지 못하게 하고, 산불조심을 당부한다. -산불원인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을 경우 즉시 경찰 혹은 산림관서 등에 신고한다.

△산행중 산불을 발견했을 경우 대처요령

-산불발견시 119, 산림관서, 경찰서로 신고한다. -초기의 작은 산불을 진화하고자 할 경우 외투를 사용하여 두드리거나 덮어서 진화할 수 있다.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확산되므로 바람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불길에 휩싸일 경우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주위를 확인하여 화세가 약한 곳으로 신속히 대피한다. -대피장소는 타버린 연료지대, 저지대, 연료가 없는 지역, 도로, 바위 뒤 등으로 정한다. -산불보다 높은 위치를 피하고 복사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때에는 낙엽, 나뭇가지 등 연료가 적은 곳을 골라 연소물질을 긁어낸 후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는다.

△주택가로 산불이 확산될 경우 대피요령

-불씨가 집안이나 집으로 옮겨 붙지 못하도록 문과 창문을 닫고, 집 주위에 물을 뿌려주고, 폭발성과 인화성이 높은 가스통 등은 제거한다.- 주민대피령이 발령되면 공무원의 지시에 따라서 침착하게 신속히 대피하되 대피장소는 산림에서 멀리 떨어진 논·밭, 학교 등 공터로 대피한다.- 혹시 대피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을 확인하고 위험 상황을 알려 준다.

△산불진화 참여요령

-산림과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평소 산불진화를 위한 간이 진화도구(괭이, 칼쿠리 등)와 안전장구(안전복, 안전모, 안전화)를 갖추도록 한다. -산불진화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가까운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건장한 젊은 분은 진화활동에 참여한다. -산불진화에 참여할 경우 현장대책본부의 지시를 받아서 조직적으로 진화활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