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되면 되게 하라
안 되면 되게 하라
  • 승인 2021.01.20 20: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순호 BDC심리연구소장
무엇을 하든 잘 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에게는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어 보인다. 그들의 잘 됨이 그냥 '우연이었다'라고만 말하기에 뭔가 설명이 부족하다.
그들의 삶을 잘 관찰해보면 그들은 잘 될 수밖에 없는 일을 하는 것 같다. 어떤 일을 하다가 잘 안 되면 끝까지 그 방법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기꺼이 새로운 방법을 찾아보려 한다. 시도해보고, 수정해보고,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리고를 반복한다. 그러다가 가장 최적의 방법을 찾는다. 그리고 결국에는 되게 만든다. 하려고 하면 '방법'이 보이고, 하지 않으려 하면 '핑계'가 보인다. 그들은 수 없는 핑계를 버리고 될 수밖에 없는 방법을 찾아낸다.
안 되면 되게 해야 한다. 안 되는 일을 계속 붙들고 고집 피우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그런데 그런 어리석은 반복된 행동을 우리는 많이 하고 산다. 잘 되는데도 이유가 있지만 잘되지 않는데도 다 이유가 있다. 결과가 좋지 않으면 좋은 결과가 나온 사람에게서 그 이유를 찾아보고 배워야 한다.
같은 직장에서 근무하던 두 사람이 있었다. 둘은 입사 동기인데다가 나이도 비슷해서 친구처럼 지냈다. 어느덧 두 사람은 은퇴할 나이가 되었다. 은퇴하기 전 늘 나눴던 이야기는 작은 시골 마을로 내려가서 이웃에 집을 짓고 함께 노후의 삶을 보내자는 것이었다. 마침내 오랫동안 일했던 직장을 은퇴하고 은퇴자금으로 시골에 사과밭을 매입했다. 그리고 밭을 개간하여 밭 한쪽에는 집을 두 채 지었다. 그리고 생전 해보지 않은 사과 농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농사는 각자의 방식대로 따로 짓기로 했다. 일을 하다 보면 서로의 스타일이 달라 괜한 갈등이 생길 수 있기에 서로 자신의 방식으로 하는 것이 맞겠다고 두 사람이 내린 결론이었다.
은퇴 전 둘은 각자 열심히 농사와 관련해서 준비를 해 나갔다. youtube 동영상을 시청하기도 했고, 농사를 먼저 짓고 있는 사람을 만나 농사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그 결과 농사를 짓기 전부터 자신감이 가득했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자기가 배운 농업기술과 자기만이 알고 있는 농업에 대한 지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첫해는 두 사람 모두 수확이 시원찮았다. 그러려니 했다. 경험이라 생각했고, 과정이라 생각했다. 농사를 한 번도 지어보지 않은 초보 농사꾼에게 농사일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론과 실제가 이렇게 차이 난다는 것을 몸소 깨닫고 있었다. 처음에는 때가 되면 사과나무에 사과가 알아서 달릴 줄 알았다. 그리고 달린 사과를 따 먹고, 남은 것은 팔면 되는 줄 알았다. 그런데 그것은 큰 착각이었다. 다음 해도 그다음 해도 농사는 시원찮았다. 그런데 이웃에 농사를 짓는 사람의 사과밭에는 늘 풍년이었다.
결단을 내려야 할 때가 왔다. 두 사람 중 A는 한 우물을 판다는 심정으로 해오던 방식 그대로 하기로 결정을 내렸고, B는 농사가 잘되지 않는 이유를 찾아보기로 했다. B는 곧바로 이웃에 사과 농사를 잘 짓고 있는 사람을 찾아갔다. 그리고 그의 농사법에 대해서 배우기 시작했다. 이곳의 토질과 기후의 특성에 대해서 배우게 되었다. 그래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사과 농사법이 자신의 땅에서는 적용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안되는 이유를 찾게 되었다. 그리고 농사를 잘 짓는 사람에게서 배운 노하우(knowhow)를 기꺼이 받아들여서 적용해 보았다. 결과는 풍년이었다. 반면에 A의 농사는 올해도 여전히 흉작이었다.
늘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는 가정에는 어떠한 이유인지는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그만한 이유가 분명 있을 것이다. 그래서 행복한 가정을 꾸미고 싶은 사람은 그 가정에서 웃음이 끊이지 않는 비결이 무엇인지 배워야 한다. 들어야 하고,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 바꿔야 한다. 그리고 결국에는 자신의 가정도 웃음이 나는 가정으로 만들어내야 한다.
"안 되면 되게 하라."라는 말이 특전사 에게만 적용되는 말이 아니다. 안되는데도 계속해서 고집을 피우고 안 되는 그 방법을 계속 사용하면 그 사람은 정말로 어리석은 사람이다. 도끼에 발등이 자꾸 찍힌다면 도끼를 계속해서 욕하는 것보다 내 발등의 위치를 옮기는 것이 훨씬 빠른 길이고 지혜 지혜로운 해결 방법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