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전환”…발걸음 빨라진 재계
“수소경제 전환”…발걸음 빨라진 재계
  • 곽동훈
  • 승인 2021.09.06 21: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업 수소 생태계 구축 만전
‘수소모빌리티+쇼’내일 개막
‘H2비즈니스서밋’ 구성 공식화
국내외 관련 기업 150곳 참여
관련 인프라·최신 기술 등 소개
포스코2021수소모빌리티쇼참가
포스코그룹은 오는 8∼11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1 수소모빌리티+쇼’에 참가해 그룹 역량을 집대성한 수소사업 비전을 선보인다고 최근 밝혔다. 사진은 포스코그룹 부스 전경 콘셉트 이미지. 연합뉴스

전세계 국가들이 탄소중립 선언과 함께 수소경제로 전환하면서 수소 에너지가 대안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이 주축이 된 ‘한국판 수소위원회’가 출범하는 등 수소 관련 이벤트가 잇따르며 수소 사회 구현을 위한 발걸음도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작년 발표한 리포트에서 세계 수소 시장이 2050년까지 12조 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역시 ‘2050년 탄소중립’을 앞두고 내년 저탄소화 사업 등에 12조원의 재정을 투입하는 등 이를 발판으로 산업계에서도 수소 관련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 찍고 투자를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5대 그룹서만 2030년까지 43조원 투입

대표적으로 현대차그룹은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를 양산했으며, 2030년까지 연간 수소전기차 50만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70만기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수소차 설비투자와 연구개발(R&D), 충전소 설치 등에 11조1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SK그룹은 작년 말 수소 사업 전담 조직인 수소사업추진단을 신설했으며, 국내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 5년간 18조5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수소 생산·유통·소비에 이르는 가치사슬(밸류체인)을 구축해 글로벌 1위 수소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작년 12월 수소산업 진출을 공식 선언한 포스코그룹 역시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t 체제를 구축하고, 수소 사업에서 매출 3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인 수소환원제철공법 연구, 수소를 생산·운송·저장·활용하는 데 필요한 강재 개발, 부생수소 생산설비 증대 등을 통해 수소 생산 역량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롯데그룹에서는 화학 계열사 롯데케미칼이 2030년 탄소중립 성장을 달성하고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의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랩을 올해 7월 발표하고 수소 사업을 견인한다.

2030년까지 약4조4천억원을 단계적으로 투자해 수소 사업 매출 3조원 목표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청정수소 60만톤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 대기업 총수 총 출동...수소협의체 출범

이와 함께 정 회장과 최 회장 등 국내 대기업 총수들이 총출동하는 수소기업협의체는 8일 ‘2021 수소모빌리티+쇼’가 열리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H2비즈니스서밋’을 열고 공식 출범한다.

수소모빌리티+쇼에는 국내외 수소 관련 기업 150여곳이 참가해 나흘간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와 수소 트램 등 수소 동력 기반 모빌리티와 수소 인프라, 수소에너지 등 수소 산업 관련 최신 기술을 한 자리에서 소개한다.

정부도 수소 인프라 확대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최근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을 개정해 국·공유지 내 수소충전소 구축 시 임대료 감면 한도를 50%에서 80%로 늘리고 개발제한구역 내 수소충전소 이외의 수소생산시설, 출하 설비 등 다양한 수소 인프라 설치도 허용했다.

그린수소 인증제와 액화 수소·액화 충전소 보급 계획 등이 담길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경제로드맵 2.0’도 연내에 발표될 예정이다.

곽동훈기자 kwak@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