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도체 인력 부족, 지방대학 투자·육성으로 풀어야
[사설] 반도체 인력 부족, 지방대학 투자·육성으로 풀어야
  • 승인 2022.06.13 21: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도체는 미래 산업의 ‘쌀’이다. 반도체는 지구상의 거의 모든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반도체 없는 삼성전자를 생각할 수 없듯이 자동차, 스마트폰, 컴퓨터, 가전제품 등 전 부문에 인공지능(AI), 데이터 같은 디지털 기술들이 접목되면서 반도체는 핵심 구성체가 돼 있다. 세계 주요국들은 반도체 산업을 핵심 산업으로 선정하고 정책적 의지와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반도체는 한국 전체 수출액의 19.9%를 차지하는 단연 1위 수출 품목이다.

한국 반도체 산업은 공급망과 기술을 둘러싼 국제적 패권 경쟁 속에서 위기를 맞고 있다. 일본 정부와 차세대 2나노미터 반도체 공동개발 등에 합의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지난 유럽연합(EU)도 현재 10% 수준인 반도체 자급률을 2030년까지 2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투자에 나섰다.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돌아보면 우려스럽다. 우선 반도체 인력 부족이 심각하다. 코로나19 이후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대기업·중소기업 가릴 것 없이 기술 개발과 생산 확대를 위한 인재 유치에 나섰지만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졌다. 최근 삼성전자, 인텔, TSMC 등이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정작 시설을 운영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반도체 전쟁이 격화되면서 세계 각국이 반도체 인력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지방대학이 반도체 인력양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반도체학과 인력 증원 지시한 것은 만시지탄이지만 적절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수도권정비계획법’을 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니 한심스럽다. 왜 수도권 대학인가. 경북대 등 지방대학은 보이지 않는가.

5G,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등 디지털 혁명의 가속화로 반도체 수요가 폭발했다.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반도체 대란이 발생했고, 마침내 미국과 유럽 자동차 공장이 반도체가 없어서 가동을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달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에 왔을 때, 삼성 반도체 공장을 처음으로 찾은 이유이기도 하다. 반도체 산업의 인력 부족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향후 10년간은 3만 명이 부족할 것이라고 한다. 지방 대학의 교수 채용과 연구장비 확충 등으로 지방대학을 살려야 한다. 반도체 생산공장의 지방 분산으로 지역인재를 활용토록 하고, 지역경제 견인차 역할을 담당케 해야 한다.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