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2천700여명 철야 대기
시멘트 출하량 평소 10% 안돼
자동차 생산공장 로드탁송만
안전운임제 확대 타협점 관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총파업이 나흘째 이어지면서 산업현장의 피해가 ‘눈덩이’ 처럼 불고 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화물연대 조합원 2천700명이 13개 지역 123곳에서 화물차량·천막 등을 이용해 철야 대기를 진행하고 있다.
오전에는 전체 조합원의 19.5%에 해당하는 4천300명이 13개 지역 136개소에서 분산 대기 중이며, 파업 첫날 대비 집회 인원은 5천300명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파업으로 전국 12개 항만의 컨테이너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의 비율)은 평소(64.5%)보다 1.9%포인트 감소한 수준이다.
다만, 전날 오후 5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6천208TEU로 주말 등의 영향으로 평시(3만6천824TEU) 대비 17%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시멘트 출하량은 운송 차질로 평소의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어 시멘트 레미콘 품귀 현상이 발생하면서 공사가 중단되는 건설 현장이 속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곳곳에서 물류 차질로 당장 이번 주부터 피해가 불어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현대차 울산 공장 등 자동차 생산공장 카캐리어가 대부분 운행을 중단해 로드탁송(판매용 차량을 운전해 운송)을 해야만 하는 상태며, 철강은 화물차를 이용한 출하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철도·해상운송만 가능해 평시 대비 출하량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SK, GS, S-OIL, 현대오일뱅크 등 4대 정유사 차량 중 70~80%가 화물연대 조합원이어서 사태 장기화 시 주유소 휘발유·경유 등 공급 차질도 우려된다.
이에 따라 국토부와 화물연대는 2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만나 파업사태 후 첫 공식 대화를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선 이번 집단 운송거부 사태의 핵심 쟁점 사항인 ‘안전운임제 확대’에 대한 양측의 이견이 어느 선에서 좁혀질지가 관건이다.
안전운임제는 화물차 기사가 과로·과속·과적 운행을 할 필요가 없게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고 이를 어기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다.
2020년 시멘트와 컨테이너 화물에 한시 도입돼 올해 말 종료를 앞두고 있다.
때문에 화물연대는 그간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안전운임의 차종·품목 확대를 요구해 왔다.
지난 6월에도 같은 문제로 파업했다가 이 제도를 내년 이후에도 계속 시행하고, 다른 차종과 품목으로 확대하는 방안은 계속 논의키로 하는 합의를 통해 파업을 종료 한 바 있다.
김홍철기자 khc@idaeg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