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 씨티셀즈 공동연구
기존 치료제보다 부작용 적고
자가활성 가능·생존율 더 높아
기존 치료제보다 부작용 적고
자가활성 가능·생존율 더 높아


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김민석 교수팀이 ㈜씨티셀즈와 공동연구를 통해 자가 활성이 가능한 자연살해(Natural Killer, 이하 ‘NK’) 세포치료제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된 NK 치료제는 기존 치료제가 가진 생체 내 짧은 생존 기간과 낮은 활성도에 대한 문제를 극복한 기술이다.
기존 항암제와 달리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과가 좋은 ‘면역 세포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여러 한계점이 발견되어 아직까지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김민석 교수팀은 NK 세포를 활용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했다. 기존에는 NK 세포 활성과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부분 외부에서 사이토카인을 주입했는데, 이때 주입된 사이토카인이 다른 면역세포들에 영향을 주어 NK 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부작용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김 교수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가 활성이 가능한 Membrane Bound Protein(막 결합 단백질, 이하 ‘MBP’) NK 세포를 제작했다. 세포막에 생존과 활성에 필요한 사이토카인을 부착해 체내생존율을 높이고 스스로 활성을 유지하도록 해서 기존 NK 세포치료제의 문제점을 극복했다. 또한 개발된 치료제에서 Perforin(퍼포린, 분자량이 약 7만인 살생T세포나 자연살생세포에서 발현하는 당단백질)과 같은 세포용해 단백질 분비가 증가하고, 항종양 효과가 증대됨은 물론 전임상 실험을 통해 항암 효능이 향상됐음을 확인했다.
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김민석 교수는 “기존 NK 세포치료제의 한계를 보완하는 MBP NK 기술은 자가활성과 생존율을 높이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특히 고형 종양에서 우수한 침투력을 보인 만큼 향후 다양한 고형암에 적용될 수 있는 플랫폼 기술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종현기자 oplm@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