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당에 실망, 탈당할 것”
비명계 “역사상 최악 홍보물”
비명계 “역사상 최악 홍보물”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2030세대를 겨냥해 만든 현수막이 청년 비하 논란으로 번지자 당 안팎에서 비판이 제기됐다.
민주당은 최근 ‘정치는 모르겠고, 나는 잘살고 싶어’ ‘경제는 모르지만 돈은 많고 싶어’ 같은 문구의 현수막을 내걸었다.
이에 당 내부에서조차 “2030세대를 정치·경제에 무관심하면서 편안함만 추구하는 이기적 집단으로 폄하했다”는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운동권 선민의식’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지난 17일 ‘2023 새로운 민주당 캠페인’을 하겠다는 공문을 시·도당에 배포했다.
해당 공문은 이날 이재명 대표와 최고위원단 등 지도부에도 보고된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한준호 홍보위원장은 19일 기자들에게 “업체가 내놓은 문구를 당에서 조치해준 것뿐”이라며 “당직자나 당이 개입한 사안이 아니다”라고 했다.
당내에선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친명(친 이재명) 김두관 의원은 “청년 비하가 아니라 청년 능멸 수준”이라고 직격했다. 더민주전국혁신회의도 “윤석열 정권하에서 청년의 좌절·불안에 대한 공감도 없다”고 비판했다.
비명(비 이재명)계 모임 ‘원칙과 상식’은 “70년 당 역사상 최악의 홍보물”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원칙과 상식’이 이날 국회에서 개최한 청년 간담회에서 당사자인 청년들은 ‘민주당이 청년의 실제 삶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는다’ ‘이들은 “왜 잘못했다고 깔끔하게 사과를 못 하느냐”고 질타했다.
민주당 당원 게시판엔 “당에 실망했다” “탈당하겠다” “이런 정당이 총선에서 민심을 잡을 것 같진 않다”는 비판의 글이 쏟아졌다.
논란이 커지자 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문구는 이미 삭제 조치를 했다” “2030 대상도, 총선용도 아니다”며 사과도 없었다.
이에 국민의힘 최현철 상근부대변인은 “무책임한 떠넘기기를 하지 말고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라”고 꼬집었다.
류길호기자 rkh615@idaegu.co.kr
민주당은 최근 ‘정치는 모르겠고, 나는 잘살고 싶어’ ‘경제는 모르지만 돈은 많고 싶어’ 같은 문구의 현수막을 내걸었다.
이에 당 내부에서조차 “2030세대를 정치·경제에 무관심하면서 편안함만 추구하는 이기적 집단으로 폄하했다”는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운동권 선민의식’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지난 17일 ‘2023 새로운 민주당 캠페인’을 하겠다는 공문을 시·도당에 배포했다.
해당 공문은 이날 이재명 대표와 최고위원단 등 지도부에도 보고된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한준호 홍보위원장은 19일 기자들에게 “업체가 내놓은 문구를 당에서 조치해준 것뿐”이라며 “당직자나 당이 개입한 사안이 아니다”라고 했다.
당내에선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친명(친 이재명) 김두관 의원은 “청년 비하가 아니라 청년 능멸 수준”이라고 직격했다. 더민주전국혁신회의도 “윤석열 정권하에서 청년의 좌절·불안에 대한 공감도 없다”고 비판했다.
비명(비 이재명)계 모임 ‘원칙과 상식’은 “70년 당 역사상 최악의 홍보물”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원칙과 상식’이 이날 국회에서 개최한 청년 간담회에서 당사자인 청년들은 ‘민주당이 청년의 실제 삶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는다’ ‘이들은 “왜 잘못했다고 깔끔하게 사과를 못 하느냐”고 질타했다.
민주당 당원 게시판엔 “당에 실망했다” “탈당하겠다” “이런 정당이 총선에서 민심을 잡을 것 같진 않다”는 비판의 글이 쏟아졌다.
논란이 커지자 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문구는 이미 삭제 조치를 했다” “2030 대상도, 총선용도 아니다”며 사과도 없었다.
이에 국민의힘 최현철 상근부대변인은 “무책임한 떠넘기기를 하지 말고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라”고 꼬집었다.
류길호기자 rkh615@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