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잇따라 부동산 활성화 대책을 내 놓고 있지만 대구지역의 미분양 아파트가 6개월여 만에 1만 호를 다시 넘어서며 오히려 증가추세다. 서울 등 수도권은 정부 대책이 어느정도 실효를 거두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대구 등 미분양이 심각한 지방에는 좀 더 세부적인 정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구의 미분양 문제는 공급과잉으로 인한 물량 적체, 거래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악화하고 있다. 지난 2022년 9월 처음으로 1만 539호를 넘어선 이후 계속 늘어나더니 작년 2월 1만 3천987호로 정점을 찍었다.
지역 미분양 문제가 사회적 문제가 되자, 대구시는 작년 1월부터 신규아파트 인허가를 전면 중단하는 ‘극약처방’을 한 이후 미미한 수준이지만, 감소세를 이어오다 올해 2월 9천927호로 미분양 아파트가 1만 호 아래로 감소했다. 하지만 4개월 뒤인 지난 6월부터 신규 분양 물량이 풀리면서 미분양 물량이 다시 쌓이고 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증가세다.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은 작년 10월(903호)을 시작으로 11월(1천16호), 12월(1천44호), 올해 1월(1천65호), 2월(1천88호), 3월(1천181호), 4월(1천510호)로 7개월째 계속 늘어나다 5월 들어 전월보다 78가구 줄어든 1천506호로 집계됐으나, 6월 1천635호, 7월 1천778호로 다시 늘어나고 있다. 대구에는 지난달 3천 181가구가 공급돼 전국에 가장 많은 물량이 풀린 데다 이달 신규 물량 1천758호가 새로 분양을 앞두고 있어 지역 미분양 물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을 이사철과 신규 물량 공급에 따른 미분양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구시도 지난 7월부터 관련 업계와 분야별 전문가들을 ‘주택정책 자문위원’으로 위촉하고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대구시는 자문회의를 정례화하는 한편 지역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 정책 건의 사항을 발굴하고, 향후 주택시장 및 금리 전망 등에 대해 자문단 의견을 수렴해 선제적으로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당장 이달부터 쏟아지는 신규 물량에다 입주 예정 물량, 그동안 쌓인 미분양 물량, 높은 대출 문턱 등을 해결하기에는 대구시의 자체 대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지역 업계의 중론이다. 또한 대구 등 지방 미분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성과를 내려면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대책이 필수적인데 정부의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지역 미분양 아파트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대구지역 언론과 건설협회 등 관련단체들이 공동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대구신문을 비롯한 지역 언론과 대한주택건설협회 대구시지회 등이 장기화하고 있는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 해소를 위해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간 인터불고호텔 컨벤션홀에서 ‘제1회 대구·경북부동산 박람회’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박람회에는 한국부동산원, 한국토지주태공상(LH) 대구경북지역본부, 대구광역시 도시개발공사, 경북도개발공사. IM뱅크 등 지역 기업과 공공기관도 참가해 지역 부동산 경기 살리기에 힘을 모은다. 박람회에는 현재 분양 중인 20여 개 아파트, 상가, 토지 분양홍보관의 참여가 진행 중이며 설계에서부터 법률, 금융, 세무 등 다양한 전문가 1대 1 상담도 사전 예약 방식으로 진행돼 실 구매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박람회가 어떤 성과를 낼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얼어붙은 지역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숨통을 틔우는 촉매제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 아울러 정부 차원의 지역별 특색을 반영한 미분양 및 부동산 활성화 대책 마련도 조속히 나오길 기대한다.
대구의 미분양 문제는 공급과잉으로 인한 물량 적체, 거래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악화하고 있다. 지난 2022년 9월 처음으로 1만 539호를 넘어선 이후 계속 늘어나더니 작년 2월 1만 3천987호로 정점을 찍었다.
지역 미분양 문제가 사회적 문제가 되자, 대구시는 작년 1월부터 신규아파트 인허가를 전면 중단하는 ‘극약처방’을 한 이후 미미한 수준이지만, 감소세를 이어오다 올해 2월 9천927호로 미분양 아파트가 1만 호 아래로 감소했다. 하지만 4개월 뒤인 지난 6월부터 신규 분양 물량이 풀리면서 미분양 물량이 다시 쌓이고 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증가세다.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은 작년 10월(903호)을 시작으로 11월(1천16호), 12월(1천44호), 올해 1월(1천65호), 2월(1천88호), 3월(1천181호), 4월(1천510호)로 7개월째 계속 늘어나다 5월 들어 전월보다 78가구 줄어든 1천506호로 집계됐으나, 6월 1천635호, 7월 1천778호로 다시 늘어나고 있다. 대구에는 지난달 3천 181가구가 공급돼 전국에 가장 많은 물량이 풀린 데다 이달 신규 물량 1천758호가 새로 분양을 앞두고 있어 지역 미분양 물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을 이사철과 신규 물량 공급에 따른 미분양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구시도 지난 7월부터 관련 업계와 분야별 전문가들을 ‘주택정책 자문위원’으로 위촉하고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대구시는 자문회의를 정례화하는 한편 지역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 정책 건의 사항을 발굴하고, 향후 주택시장 및 금리 전망 등에 대해 자문단 의견을 수렴해 선제적으로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당장 이달부터 쏟아지는 신규 물량에다 입주 예정 물량, 그동안 쌓인 미분양 물량, 높은 대출 문턱 등을 해결하기에는 대구시의 자체 대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지역 업계의 중론이다. 또한 대구 등 지방 미분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성과를 내려면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대책이 필수적인데 정부의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지역 미분양 아파트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대구지역 언론과 건설협회 등 관련단체들이 공동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대구신문을 비롯한 지역 언론과 대한주택건설협회 대구시지회 등이 장기화하고 있는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 해소를 위해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간 인터불고호텔 컨벤션홀에서 ‘제1회 대구·경북부동산 박람회’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박람회에는 한국부동산원, 한국토지주태공상(LH) 대구경북지역본부, 대구광역시 도시개발공사, 경북도개발공사. IM뱅크 등 지역 기업과 공공기관도 참가해 지역 부동산 경기 살리기에 힘을 모은다. 박람회에는 현재 분양 중인 20여 개 아파트, 상가, 토지 분양홍보관의 참여가 진행 중이며 설계에서부터 법률, 금융, 세무 등 다양한 전문가 1대 1 상담도 사전 예약 방식으로 진행돼 실 구매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박람회가 어떤 성과를 낼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얼어붙은 지역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숨통을 틔우는 촉매제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 아울러 정부 차원의 지역별 특색을 반영한 미분양 및 부동산 활성화 대책 마련도 조속히 나오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