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대구, 다시 기지개 켜나
<신년특집> 대구, 다시 기지개 켜나
  • 대구신문
  • 승인 2010.01.04 11:1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닥친 대구 경제' 탈출구가 보인다
첨복.4대강 등 머무는 도시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교육경쟁력 강화"
1인당 GRDP 17년째 전국 꼴찌, 인구 감소에 이은 심각한 인구유출 문제 등 대구의 좌표가 흐려지고 있다. 대구시는 첨단의료복합단지와 국가과학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을 계기로 대구 경제의 체질을 바꾼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시의 야심찬 계획과는 달리 대구 경제의 미래를 걱정하며 대구를 떠나는 이들이 많다. 대구의 현 주소를 살펴본다.

◆1인당 GRDP ‘17년째 ’전국 최하위

대구가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에서 지난해에도 전국 최하위로 기록, ‘17년째 꼴찌’란 불명예를 이어갔다. 1인당 GRDP는 각 지역의 경제력 수준을 보여주는 수치로 대구의 1인당 GRDP는 울산의 4분의 1수준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RDP의 경우 대구가 1천359만원으로 전국 16개 시·도 중 꼴찌였다. 경북은 2천616만원으로 4위를 기록했다.

1인당 GRDP가 가장 많은 곳은 울산으로 4천862만원이었으며, 충남 2천996만원, 전남 2천959만원, 경북 2천616만원, 서울 2천448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1인당 GRDP는 전국 평균의 64%로 60%대에 머문 곳은 16개 시·도 가운데 대구가 유일하다.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은 전국 시·도 중 10위로 1인당 개인소득도 모두 하위권에 포함됐다.
전년도 비교 증가율도 대구는 13위로 뒤처져 지역경제가 당분간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할 것으로 풀이됐다.

지난해 기준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은 1천162만원으로 7대 도시 중 6위, 전국 시도 중 10위로 1인당 개인소득 역시 하위권으로 조사됐다.

반면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로 1천550만원이며, 울산 1천535만원, 경남 1천228만원, 경기 1천224만원, 부산 1천221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전년도와 비교한 1인당 소득증가율에서도 대구(5.2%)는 13위, 경북(5.3%)은 12위에 불과했으며, 경제성장률은 대구가 1.5%로 9위, 경북은 1.7%로 7위에 그쳐 전국 평균 2.4%에 훨씬 못 미쳤다.

◆점점 줄어드는 인구

저출산 등으로 대구의 인구 감소추세도 뚜렷하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10월말을 기준으로 대구의 주민등록 인구는 249만 2천960명으로 5년 전인 2004년 252만 4천712명에 비해 1.2%인 3만 1천752명이 줄었다.

매년 5천여명의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각 구·군별로는 서구가 2004년 25만 8천98명에서 22만 5천994명으로 무려 3만 2천104명이 줄어 12.4%의 감소율을 보였다.

남구는 18만 1천381명에서 17만 2천651명으로 8천730명(4.8%)이 줄었고, 동구는 34만 4천328명에서 33만 1천357명으로 1만 2천971명(3.7%)이 감소했다.

또 대구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중구는 7만 9천911명에서 7만 8천110명으로 1천801명이, 북구는 45만 9천741명에서 45만 4천906명으로 4천835명이 준 것으로 집계됐다. 달서구는 60만 1천467명에서 2천907명이 줄었다.

그러나 이 같은 인구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수성구와 달성군은 오히려 꾸준히 인구가 늘고 있어 지역간 인구 쏠림현상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폭으로 인구가 늘어난 곳은 달성군으로 2004년 15만 5천905명에서 2009년 17만 5천569명으로 12.6%인 1만9천664명이 늘었다.

수성구도 2004년 44만 3천881명이던 인구가 45만 5천813명으로 늘어 2.6%(1만 1천932)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수성구의 경우 올 1월 인구수가 45만 1천886명이었지만 매월 증가세를 보이며 10개월 사이 3천927명이나 늘어났다.

◆유출인구도 심각

대구·경북지역 인구 순유출 현상이 10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른 인구 감소 현상은 ‘인구감소→노동 공급과 소비, 미분양 주택 증가와 주택투자 감소→잠재성장 동력 및 경제성장률 하락→인구 감소’란 공급과 수요 차원의 경제 악순환으로 이어져 지역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초 통계청이 발표한 ‘2008년 연간 국내 인구 이동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지역 총 전입 및 전출자 수는 각각 41만명과 42만3천명이며, 이중 타 시·도간 전입 및 전출자 수는 9만9천명, 11만2천명으로 순유출 인구가 1만3천명에 달했다.

경북지역 전입자 및 전출자 수도 각각 36만3천명과 37만7천명으로, 이 중 타 시·도간 전입 및 전출자 수는 13만4천명, 14만8천명으로 인구 순유출은 1만4천명을 기록했다.

또한 지난해 지역의 타 시·도간 전출자의 전입지로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비중이 대구 25.6%(9천249명), 경북 28.6%(8천976명)를 차지해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출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와 경북지역 연령 계층별 순인구 이동을 살펴보면 경북의 50~59세 인구가 257명 늘어난 것을 제외하곤 전 연령대에서 인구 순유출이 일어났다.

특히 지역 경제의 핵심축 세대인 20대(20~29세)와 30대(30~39세)는 △대구 6천601명, 1천452명 △경북 8천242명, 1천160명으로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부산 다음으로 많았다.

이 같은 지역 인구 순유출 현상은 대구가 11년째, 경북이 10년째 지속된 것으로, 이 기간 중 유출 인구 누계는 각각 14만3천명, 19만9천명 등 총 34만2천명에 달해 웬만한 중형도시 규모를 능가하고 있다. 다만 지역 인구 순유출 현상은 대구가 2006년 2만6천명을, 경북은 2003년 3만7천명을 정점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의 경제 살리기 정책은

대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대구시는 내년 역점 사업을 ‘미래 성장을 위한 신산업 기반’ 및 ‘의료 도시(메디 시티)’의 성공적 조성으로 잡았다.

국가과학산업단지와 첨단의료복합 단지,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을 계기로 이곳에 우수 기업 및 국책 사업을 유치해 앞으로 대구 경제를 살찌울 계획이다.

내년에는 이미 분양에 들어간 성서 5차산업단지와 이시아폴리스, 대구국가과학산업단지 기반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또 노후 공단 재정비 사업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달성군 구지에 들어설 국가과학산업단지는 825만1천㎡에 이른다. 1조7천여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014년 준공할 예정이다. 또 대구의 성장동력이 될 자동차부품시험장 등 국책 사업도 본격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기계부품연구원대구분원 설립 등 지능형자동차 상용화 연구기반 구축사업과 산업용 섬유 육성을 위한 슈퍼소재 융합제품 산업화사업, 모바일융합 글로벌 경쟁력 강화사업, 대구텍스타일 복합관 건립 역시 내년에 시작된다.

신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기반으로 한 ‘메디시티’ 사업도 대구의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역점 사업이다.

시는 내년 2월까지 의료단지 성공을 위한 분야별 실행계획을 세운 뒤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을 설립키로 했다. 10월부터는 단지 조성 공사가 시작될 계획이다.

또 의료단지 성공을 위한 의료 인프라 확충 사업도 잇따라 추진된다. 내년 6월 경제자유구역내 수성의료지구 실시계획이 완료되고 하반기부터 보상과 공사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며 7월에는 양한방통합의료센터가 건립된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우수한 대구의 의료 인프라를 밑천으로 치료와 체험관관을 연계한 관광상품을 개발해 해외 관광객들을 유치할 계획”이라며 “대구가 국제적인 의료 메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의료단지 및 수성의료지구 조성 사업을 잘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인구 유출을 막고 대구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지역 경제정책의 최우선 목표를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교육시스템의 경쟁력 강화’ 등에 둬야 된다”며 “투자 유치를 통한 지식기반 서비스업 및 신성장 동력산업의 적극 유치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태욱기자 choi@idaegu.co.kr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