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공공교통 활용 정책 필요”
“자전거 공공교통 활용 정책 필요”
  • 김종현
  • 승인 2016.11.29 17:0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중교통 활성화' 해법은 보행 중심
(3)자전거전용도로 대신 자전거 전용차로 늘려야
대구 전체 자전거도로 792㎞ 중
전용차로는 6개 노선 15㎞ 불과
대부분 인도 겸용…선진국과 대조
IMG_4539
반월당네거리에서 명덕역 사이에 자전거전용차로가 만들어져 있지만 불법주차 트럭 때문에 자전거가 비켜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전거 전용도로보다 도심의 자전거 전용차로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전영호기자
교통 전문가들은 지하철 역에서 잠시 자전거를 빌려주는 식의 교통정책이 아니라 자전거를 공공 교통용으로 사용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한다. 대구시 자전거타기운동연합 김종석 대표는 “전세계 1천300개의 도시가 공공자전거를 도입하고 있다”며 “이제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정책이 세계적 추세”라고 강조했다. 뉴욕시는 대중교통 전용지구를 확대하고 자전거를 자동차를 보완할 보완재로 사용하고 있다. 처음 승용차 출입을 통제하고 대중교통전용지구를 만들었을 때 반대하던 지역 상인들도 차없는 거리에 사람들이 몰리자 이 정책을 환영했다고 한다. 샌프란시스코시는 보행자의 걸음걸이 속도에 맞춰 신호등이 점멸돼 목적지까지 자동차 때문에 멈추는 일 없이 계속해 걸어갈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했다.

서울시의 경우 스마트복지재단의 기부금 30억원을 받아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구축했다. 대규모 도시철도 환승 자전거 주차장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신대방역, 잠실역 제2롯데월드 주차장에는 24시간 무인 기계식이 들어섰다. 서울 지하철 9호선 3단계(내년 연말 준공 계획) 공사에는 다단식 지하 매립형태 기계식 주차장이 만들어졌다. 9호선 설계 단계인 10년 전부터 지하매립 자전거 주차장을 생각했다는 얘기다.

지난해 도입된 서울시의 공공자전거는 자전거 한대마다 시스템 인식장치가 달려 운영비가 많이 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공공자전거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라디오주파수대역을 사용해 물품을 인식) 시스템을 사용한다. 상황실이 대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스테이션과 계속 통신해야 하는데 자전거 한 대마다 통신시스템을 설치하게 되면 유지·관리비가 많이 든다는 것이다. 서울시민이 아닌 관광객들은 스마트폰으로 등록을 하기가 어려워 젊은이들도 이용을 포기할 정도로 사용등록이 어렵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또 도심의 차량속도가 빠른 편이어서 한강주변에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달리는 자전거가 많지만 도심을 달리는 자전거는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대구시는 무턱대고 공공자전거를 도입하기 보다 타 도시의 사례를 살펴가며 충분한 검토 후 공공자전거를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우선 자전거도로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자전거도로는 자전거 전용도로, 보행자 겸용도로, 자전거 전용차로로 나뉜다. 대구의 전체 자전거도로는 792㎞이다. 이 가운데 자전거 전용도로는 20개 노선에 51㎞, 전용차로는 6개 노선에 15㎞에 그치고 있다. 대부분은 보행자 인도에 선을 그은 겸용도로인데 217개 노선에 726㎞에 이른다. 시는 지난 2009년부터 내년까지 100억원을 투입해 전체연장 100㎞의 자전거도로를 추가로 건설하거나 정비하고 있다.

뉴욕시에는 580㎞의 자전거도로가 있는데 이 가운데 500㎞가 자전거 전용차로이고 80㎞만 전용도로다. 전용차로는 차로의 한 차선을 완전히 자전거 전용으로 하는 것이고 전용도로는 신천이나 금호강변의 자전거 전용도로처럼 아예 자전거만 다니도록 만든 도로이다. 대구의 자전거 전용차로는 15㎞에 불과해 도심의 차로에서 차와 함께 자전거가 다닐 만한 길은 거의 없는 셈이다.

김종현기자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94(신천 3동 283-8)
  • 대표전화 : 053-424-0004
  • 팩스 : 053-426-6644
  • 제호 : 대구신문
  • 등록번호 : 대구 가 00003호 (일간)
  • 등록일 : 1996-09-06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대구, 아00442
  • 발행·편집인 : 김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배수경
  • 대구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구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icbae@idaegu.co.kr
ND소프트
많이 본 기사
영상뉴스
SNS에서도 대구신문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최신기사